2021 한부모가정혜택 및 자격 총정리

2021년 한부모가정 혜택 및 자격을 총정리해봤습니다. 지원자격과 신청방법 혜택등 꼼꼼히 한번 살펴보세요. 

 

 

 

 

2021한부모가정 자격 

2021 한부모 가정혜택

 

1. 지원대상

 

■ 한부모가족(모자가족 및 부자가족)


모자가족이란 모(母)가 세대주인 가족
부자가족이란 부(父)가 세대주인 가족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세대원(世代員)을 사실상 부양하는 자를 포함


■ 조손가족 

 

부모로부터 사실상 부양을 받지 못하는 아동(이혼, 유기, 행방불명, 실종, 사망, 경제적 사유 등)을
 (외)조부 또는 (외)조모가 양육하는 가족

 


■ 청소년 한부모가족

 

한부모가족으로서, 모(母) 또는 부(父)의 연령이 만 24 세 이하인 가족

 


2. 지원대상 가구원


- 한부모가족 및 청소년 한부모가족의 “모(母) 또는 “부(父)”와 만 18 세 미만(취학 시 만 22 세 미만)의 자녀

 

- 조손가족의 경우 (외)조부 또는 (외)조모와 만 18 세 미만(취학 시 만 22 세 미만)의 손자녀


*다만, 취학 중인 경우에는 22 세미만을 말하되, [병역법]에 따른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취학 중인 경우에는
 병역의무를 이행한 기간을 가산한 연령 미만을 말함

 

 

3. 지원대상자 선정 조건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청소년 한부모가족으로서 가구선정 기준 및 소득인정액 기준을 모두 충족한 경우 지원결정 가능

 

(단위: 원/월)

구분 2인 3인 4인 5인 6인
2021 년 기준 중위소득 3,088,079 3,983,950 4,876,290 5,757,373 6,628,603
<참고> 생계급여 수급자
(기준 중위소득 30 %)
926,424 1,195,185 1,462,887 1,727,212 1,988,581
한부모
및 조손가족
기준 중위소득 52 % 1,605,801 2,071,654 2,535,671 2,993,834 3,446,874
기준 중위소득 60 % 1,852,847 2,390,370 2,925,774 3,454,424 3,977,162
청소년
한부모가족
기준 중위소득 60 % 1,852,847 2,390,370 2,925,774 3,454,424 3,977,162
기준 중위소득 72 % 2,223,417 2,868,444 3,510,929 4,145,309 4,772,594

 


4. 온라인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


신청인을 포함하여 가구원 중 한 명이라도 외국국적인 경우 온라인신청이 불가능하므로 방문신청해야 합니다. 

 

 

 

 

 

 

서비스내용 (지원혜택)

2021 한부모 가정혜택 

 

1. 저소득 한부모가족(조손가족 포함) 아동양육비 등 지원

 

구분 지원조건 지원내용
아동양육비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만 18 세 미만 아동 자녀 1 인당
월 20 만원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를 지원받는 한부모가족의
만 18세 미만 자녀
* ’21.5월부터 적용
자녀 1 인당
월 10 만원
추가 아동양육비 저소득 조손가족 및 만25 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 세 이하 아동
* 만 24 세 이하 미혼한부모의 경우 청소년한부모로써 월 35 만원의
  아동양육비를 지원하므로 제외
* ’21.5월부터 만 35세 이상인 경우 지급
자녀 1 인당
월 5 만원
만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
* ’21.5월부터 적용
자녀 1 인당
월 10 만원
만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6세 이상 18세 미만 아동
* ’21.5월부터 적용
자녀 1 인당
월 5 만원
아동교육지원비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 자녀 자녀 1 인당
연 8.3만원
생계비
(생활보조금)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부모가구 가구당
월 5만원

 

* 모든 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2% 이하인 가족을 지원대상으로 함

* 연령 기준이 연나이(’18년도)에서 만나이(’19년~)로 변경됨을 유의

 

 

2.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구분지급시기지원액지원대상지원계획

 

구분 지급 시기 지원액 지원대상 지원계획
청소년 한부모
아동양육비
월별 지급 월 35 만원* 기준 중위소득 60 % 이하 계좌입금
청소년 한부모
검정고시학습비
수시지급
(신청 시)
연 154 만원 이내 기준 중위소득 60 % 이하 해당 청소년 한부모가 등록한
학원 또는 개인계좌로 입금
청소년 한부모
고교생교육비
분기별 지급 실비** 기준 중위소득 52 %
초과~60 %
(교육급여 수급자 제외)
해당 청소년 한부모가 재학
중인 학교로 계좌입금
청소년 한부모
자립촉진수당
월별 지급 월 10 만원 기준 중위소득 60%이하 계좌입금

 

* '21.5월부터 생계급여 지원 한부모가족 대상 월 25만원 아동양육비 지원 가능

** 특수목적고 및 자율형사립고 등은 연간 최대 5백만원 한도내에서 지원가능

 

 

 

 

 

 

서비스 이용 및 신청방법 

2021 한부모 가정혜택 

 

1. 신청인

 

■ 방문신청

 

 방문본인, 친족 및 기타 관계인(대리인 신분증)

사회복지전담 공무원(동의서 및 공무원 신분증)

 

■ 온라인

 

 서비스 대상자 본인

 

 

 

2. 신청방법

 

■ 방문

 

급여대상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온라인

 

'복지로' 온라인신청

 

 

3. 구비서류

 

■ 방문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변경) 신청서

 청소년한부모 자립지원제공 신청서(청소년한부모에 한함)

 소득재산 신고서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

 임대차계약서, 제적등본,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 등(해당자에 한함)

 

- 온라인하단의 5.온라인 제출서류 참고

 

서비스 신청 (읍/면/동 주민센터 및 복지로 홈페이지)

사실조사 및 심사 (시/군/구청)

서비스결정 (시/군/구청)

서비스실시(대상자)

 

 

온라인 신청서 작성 전 주의사항 

2021 한부모가정 혜택

 

1. 신청서 작성 방법


 마지막 단계인 신청완료까지 진행해야 서비스 신청이 완료됩니다.
 신청 완료 후에 발급되는 온라인신청ID를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신청서가 제출되면 SMS나 이메일로 온라인신청ID가 전송됩니다.
 소득·재산 신고 작성시, 각 항목에 누락 없이 정확히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등록 주소지가 다른 가족구성원의 금융정보제공 동의는 해당 가구원의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만 가능합니다.
 00:00~23:59에 신청서를 제출하는 경우, 제출일이 신청일이 됩니다.(주말, 공휴일 포함)
※ 단, 신청 후에 관할 보장기관 담당자가 추가서류 제출 요청시, 추가서류 제출완료일이 신청일이 됩니다.

 

 

2. 이의신청


- 신청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은 해당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3. 보장비용의 징수 및 처벌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비용을 지원 받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지원을 받게 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며, 적발된 경우에는 부당이득은 전액 환수함을 알려 드립니다.

 

 

 

온라인 제출서류

키워드 

 

온라인 제출서류
제출서류는 사전에 작성하여 이미지파일(gif, jpg)로 준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임대차계약서
※ 확정일자를 받은 계약서만 해당
전·월세로 거주하는 경우 해당 전·월세계약서
본인 소유 주택을 다른 사람에게 임대한(빌려준) 경우, 해당 전·월세계약서
상가를 임대해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 해당 상가계약서
논·밭 등 기타 재산을 빌려주거나 빌린 경우, 해당 임대차계약서
- 사용대차 확인서 [사용대차 확인서 다운로드]
친지 또는 타인의 주택에 무상으로 거주하는 경우, 집주인이 확인한 사용대차 확인서
- 공공기관 부채증명원
정부, 지자체, LH공사, 미소금융, 한국장학재단 등 공공기관에 대출이 있는 경우 해당 대출 증명서류
- 기타 부채증명서류
법원 판결 또는 법원의 화해·조정에 따라 개인간 채무가 확정된 경우, 해당 판결문
※ 복지급여 계좌등록 시 계좌정보 확인이 5회이상 실패한 경우 또는 압류방지통장인 경우 통장사본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 제출방법 : 이미지업로드

 

 

관련자료 

2021 한부모 가정혜택 

 

위드맘(한부모가족의 자립,양육지원)

 

상담전화 1644-6621

 

한부모가족지원법

한부모가족지원법 시행령 

한부모가족지원법 시행규칙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